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51강

Posted by 소소한일상S01E01
2018. 9. 6. 20:50 내면탐구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51강




상담사례


비난형인 아버지가 인혼한 아들에게 화를 내고 비난을 한다.

아버지의 속마음은 안쓰럽고 속이 상한 상태다.

이를 적응하는 스타일이 비난하기라고 보면 된다.


사티어의 빙산


수면 위로 드러난 부분은 눈으로 볼 수 있는 외적인 행동이다. 내담자의 문제이기도 하다.(여기서는 아버지의 화내는 성향, 상태를 의미)


수면 아래에 있는 부분은 실제 이유다. 아버지의 의도에 해당한다.


빙산의 아랫부분이 실제대로 표출되면 어떻게 될까. 우리는 숨겨진 마음대로 행동하지 않고 1.-4. 유형대로 행동한다. 즉 사람을 비난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화를 애정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화를 낸다고 하자.


아들이 아버지가 화내는 이유, 의도...그러니까 수면으로 떠오르지 않은 빙산 부분을 볼 수 있다면 아들은 더이상 서운해하지 않을 것이다.

아버지가 불안을 화를 내면서 극복하시는 거구나.

아픔을 화를 내면서 극복/적응하는 거구나 라고 말이다.


사티어는 "네 깊숙히 마음에 있는 것을 표현하라"라고 한다.


즉 위의 아버지가 나는 불안하다. 나는 두렵다. 나는 마음이 두근거린다. 라고 표현한다면 어떨까.


아버지가 화를 내는 것을 보고 아들은 두려움을 느낀다. 이것은 아들에게는 억압된 감정으로 남게 되는 것이다.



우리의 지각: 보고, 듣고, 느끼고 해석하다.

예를 들면 눈을 동그랗게 뜬 경우에

-해석1: 이 사람이 놀랐구나

-해석2: 이사람이 화났구나


타인의 행동에 대한 지각이 제대로 됐는지 검토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동창회에 내가 도착하니까 A,B,C가 자리를 떠난다고 할 때에 화가 난다면...

-생각1: A,B,C는 당신을 좋아하지 않는다.


예를들어 아이가 늦게 들어올때에 짜증이 난다면

-생각1: 뭐 못 된 짓하고 돌아다니나.


지각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기대를 열망을 분석해봐야 한다. 왜 그런 지각을 하는지.

예를들어 동창회에 내가 도착하니까 A,B,C가 자리를 떠난다고 할 때에 화가 난다면...

친구들과 친하게 지내고 싶다는 바람.


예를들어 아이가 늦게 들어올때에 짜증이 난다면

내 아이가 잘 됐으면 좋겠다라는 바람.


즉 우리 모두는 사랑받고 싶은 열망이 있고 이것이 수면 아래의 빙산으로 남아있다.

근데 이런 열망을 우리는 표현하지 않는다.

결국 딴짓만 하다가 결국 인생을 마감하게 된다.


의사소통으 질이 회복되면 빙산의 수위가 점점 내려간다. 평이하게 예기할 수 있다. 즉 드러나는 부분이 더 많아진다.

회유형, 초이성형의 의사소통 패턴을 일치형으로 가져가야 한다.

자신의 의사소통 패턴을 신뢰하고 지켜내야 일치형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