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47-48강

Posted by 소소한일상S01E01
2018. 8. 27. 21:14 내면탐구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47-48강


분화지수 4단계


0-25 분화가 0이고 융화가 100

엄마의 슬픔에 동참하고자 하는 딸. 개성 포기, 진짜 자기(=개성) 가짜자기(=사회에 적응한 자아)

진짜자기 포기.

사람들이 바라는 것한다. 하고 싶은 게 별로 없다. 상대가 나를 사랑해야 존재한다고 느낌. 

따라서 타인의 태도에 목숨건다. (하지만 심리적 거리를 둬야 마음이 편해진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상처를 잘 받는다. 관계가 안좋아지면 한 순간에 공황상태에 빠진다. 주도적인데도 의존적인 타입의 사람이다. 우울증, 편집증에 취약하다.


25-50 자극이 오면 괴로움 갈등을 보다 빨리 정리가능

객관화가 위의 집단보다 빠르다.

타인의 인정, 지지가 중요. 타인의 목표에 따라 인생을 산다.

타인이 뭐라 하면 흔들리는 정도가 위의 집단보다 낮다.

분화하고자 하는 목표 세울 수 있다.

자율적으로 자신을 이끌어 나아갈수 있다.

사람의 영향을 받는다.


50-75


75-100 (분화가 100 융합이 0)


누가 당신의 ~~이런 부분은 효율이 떨어져보여요 한다면....



반응 1: 화가 나거나 섭섭해 하면서 자기 자신을 괴롭힌다. 마음이 요동친다.

반응 2: 뭐가 문제지? 뭘 고쳐야 하지? 감정이입시키지 않는다. 

감정이 일어날 수 있지만 조절이 가능하다. 타인이 뭐라고 하든 적절히 반응할 수 있다.


반응 1은 분화지수가 0-25 집단의 사람이다.

반응 2는 분화지수가 50-75 집단의 사람이다.



-분화지수가 비슷한 사람끼리 서로 끌린다고 본 보웬.

-가계도를 그린다. (상담자의 필수도구다!) 부부는 비슷한 역할을 하다가 만난다. 소름끼칠 정도로. 아이들의 분화정도 되물림된다.

-분화정도는 무의식적으로 즉각적으로 서로 알아본다. 그리고 사랑에 빠진다.

자신과 비슷하게 자란 사람에게 끌리게 되어있다. 사실 자신과 다른 사람을 의식적으로 추구하지만 결국 그렇지 않게 된다.

-분화지수가 낮은 여자는 분화지수 높은 건강한 청년이 사랑하는 방식을 사랑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분화지수 낮은 병리적 남자가 사랑하는 방식을 사랑이라고 믿는다.(예를 들어 하루에 12번 전화하는 병리적인 행동을 보이는 사람)



-우리나라 장남은 부모와 융합이 완벽히 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시어머니는 며느리를 자연스럽게 미워하게 되어있다. 자기 아들을 빼앗겼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 남편(남편 또한 자기 부모님을 순종)을 보면서 

자기 아들을 자기 편으로 완벽히 만들어두었었고 그렇게 했다고 자부했었기 때문이다. 


사실 남편이 혹은 아내가 집에서 비교적 역할이 강하지 않은 경우 오히려 며느리는 기뻐할 수 있다. 

시부모 사이의 갈등이 해결되지 않으면 며느리도 또 누구 하나 잡아서 자신과 융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되물림 현상이 일어난다. 심화되면 병리현상으로.....편집증, 우울증, 정신분열로 전개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분화지수를 높일 수 있을까?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뭉치면 죽고 흩어지면 산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부모에게 상담자가 하는 말: 하고 싶고 해줄 수 있는 게 100이라면 자녀에게 60만 하십히오.


과도하게 쓰면 과도하게 요구하게 된다. 안주면 나중에 폭발한다.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46강

Posted by 소소한일상S01E01
2018. 8. 26. 21:00 카테고리 없음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46강


분화와 융합


융합이 될수록 건강하지 못하다.

분화가 일어날수록 건강하다.


융합이란?


A가족

아버지가 술 드시고 폭언.

어머니와 관계가 좋지 않다.

어머니는 상처가 있고 울고 있다.


B가족

어머니 아버지 모두 관계가 좋다.

크게 다투고 어머니가 울고 있다.


첫번째 가족의 자녀 A가 두번째 가족의 자녀B보다 마음이 더 힘들다.

A의 엄마가 50퍼센트 아프다면 A본인은 60-70퍼센트 아프다.

즉 A와 엄마는 잘 묶여있다. A가족은 역기능적 가족이다. 감정의 덩어리로 융합되어있다.

A가 우는 어머니 보고 느끼는 감정: 감정의 반사작용이라고 한다. 선택의 여지, 설명이 필요없다. 무조건적으로 감정적 반응을 한다.


우리나라는 감정 융화가 당연시 된다.

그러나 기억해야 하는 것은 이것은 비정상적이라는 것이다. 즉 병리적 현상의 원인 중 빠지지 않는게 가족의 감정의 융화다.

거식증, 정신분영, 폭식증, 우울증의 원인이 융화로 알려져 있다.


분화지수 4단계


0-25 분화가 0이고 융화가 100

엄마의 슬픔에 동참하고자 하는 딸. 개성 포기, 진짜 자기(=개성) 가짜자기(=사회에 적응한 자아)

진짜자기 포기.

사람들이 바라는 것한다. 하고 싶은 게 별로 없다. 상대가 나를 사랑해야 존재한다고 느낌. 

따라서 타인의 태도에 목숨건다. (하지만 심리적 거리를 둬야 마음이 편해진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상처를 잘 받는다. 관계가 안좋아지면 한 순간에 공황상태에 빠진다. 주도적인데도 의존적인 타입의 사람이다. 우울증, 편집증에 취약하다.


25-50 자극이 오면 괴로움 갈등을 보다 빨리 정리가능

객관화가 위의 집단보다 빠르다.

타인의 인정, 지지가 중요. 타인의 목표에 따라 인생을 산다.

타인이 뭐라 하면 흔들리는 정도가 위의 집단보다 낮다.

분화하고자 하는 목표 세울 수 있다.

자율적으로 자신을 이끌어 나아갈수 있다.

사람의 영향을 받는다.


50-75


75-100 (분화가 100 융합이 0)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45강

Posted by 소소한일상S01E01
2018. 8. 25. 20:43 내면탐구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45강




보웬의 가족상담치료




보웬


1.가족의 분화에 대해 설명핟였다.


2. 보웬의 개인사


-대가족의 장남이었다.


-군에 입대했었다.


-가족 관계로부터 오는 상처를 많이 보았다.


-제대 후 의사가 되어 정식분석학을 공부하였다.


-정신 분열 내담자 치료 중 알게 된 사실은 바로 이들은 엄마와의 관계가 남다르게 긴밀한 것이다.


-심리치료에 있어서 어머니를 다루고 가족치료도 확대하여 자신의 이론을 정립하였다.




3.인간관


-인간은 환경과 상호작용한다.


-인간의 본능은 생존이다.


즉 생존하기 위해 적응을 한다. 즉 모든 이에게 정신분열증세가 있다.

하지만 병리적인 정도가 심하면 증세가 심하게 나타난다. 

화내는 것도 분열증세도 중독도 도둑질도 강도 짓도 기타 등도 모두 생존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라고 한다.


현실이 너무 힘들면 회피 증상도 나타난다. 

독서, 컴퓨터 게임, 상상의 세계에 빠지는 것, 잠자는 것, 티비 시청하는 것이 모두 생존을 위한 적응을 위한 행동인 것이다. 

이것이 길어지고 심해지면 병리적으로 된다.



-인간을 살아있게 하는 중요한 요소는 바로 감정이다.


"내가 왜 이걸하지" "왜 내가 이사람을 왜 택했지?" 


사실 따져보면 감정의 개입이 있다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인간의 중요한 심미적 요소는 정서, 인지, 감정, 사고인데


하지만 보웬은 정서가 더 중요하고 감정에 따라 인지가 따라간다고 보았다.




-인간과 인간이 묶여지려면 감정이 교류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사람에 따라 감정이 넘쳐서 사고를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사람에 따라 감정이 멈춰서 사고만이 그 사람을 이끄는 경우도 있다.


우리가 목표를 가졌을 떄 감정이 받쳐주면 사고까지, 이성적인 부분까지 받쳐주기도 한다. 목표와 감정이 더 기발한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뭘 경정할 때 감정이 적절히 개입되어야 한다.


어느 추운 겨울날, 창문을 열지 말지 고민하고 있는가?

이 고민을 하루 종일 하고 있는가?

문을 열면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고 물은 안 열면 따뜻하기는 하지만 공기가 탁하다. 

그리고....고민을 하게 된다. 


결정능력이 없다는 것은 정신분열 증세와 같다. 열어야 해? 말아야 해?

만나야 돼 말아야 돼 하루 종일 고민하는 경우라면...


철학적인 사람보다 더 심하면 정신분열수준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