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55강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55강
게임분석: 내담자의 인생에 대한 태도를 알아볼 수 있다.
1. I am ok. You are ok. 나와 너를 긍정
2. I am ok. You are not ok. 나는 긍정하고 널 부정하는 것.
3. I am not ok. You are not ok. 나와 널 모두 부정하는 것.
4. I am not ok. You are not ok. 나를 부정하고 널 긍정하는 것.
이런 인생의 태도를 미리부터 가지고 있고 이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는 우리다.
예를 들면 남편의 각본이 I am not ok. 일 때에 반응은 나 때문에 생긴일이야.
부인의 각본이 You are not ok.인 경우 그래 너때문이야.
이런 경우 천생연분이라 한다. 딱 맞는 한쌍의 커플인 것이다.
대화를 보면 싸우는 것 같지만 서로 동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각본을 서로 확인함.
즉 삶은 내가 짜놓은 각본을 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의 신념을 강화시키는 쪽으로 살아간다.
통일감 있게 살아간다. 분열은 위험하다고 느낀다.
위의 부인은 자신의 실수를 되돌아 볼 필요없이 살아간다.
남편은 자신의 실수를 인정한다. 모험할 필요가 없다. 그대로 살아갈 뿐이다.
예를 들어 나쁜 감정을 가지면 안돼 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면
자신의 느낌이 말로 표현되려고 할 때 자동적으로 입을 다물게 된다.
또다른 예를 들면 어린애 말투를 쓰는 어른을 볼 때에
어린애가 되어야 사랑받는다고 느낌. 자신이 짜둔 각본을 인지하게 됨.
엄마가 예쁜 애기라고 주입시켰다. 자기도 모른 사이에.
1. 어버이 자아 중 비판을 많이하고 양육적 자아가 낮은 경우
처바이 부드러운 말 쓰도록 노력하여 양육적 자아를 올리도록 한다.
2. 비판이 낮고 양육적 자아가 높은 경우
처방: 비판을 높이도록 한다. 즉 자신감을 가지고 단호하고 큰 소리로 얘기해야 한다. 거울 앞에서라도 잘 안되어도 연습하면 된다.
공감이 전제되어야 효과적이다.
즉 사랑, 배려, 수용이 일단 전제되어야 함을 기억하자.
거절도 다양한 방법으로 할 있으므로 끊임없이 연구해야 한다.
1. 안돼!
2. 지금은 좀 바쁘다.
3. 5분 밖에 없어.
.
.
.
우리의 뇌
칭찬보다 비판이 더 강하게 인식된다.
비판 1회 당 칭찬 7-8회 해야 상쇄된다.
따라서 공감, 경청, 부드럽게 말하는 것은 아무리 많이 해도 지나치치 않다고 하는 것이다.
'내면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56강 (0) | 2018.09.20 |
---|---|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54강 (0) | 2018.09.11 |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53강 (0) | 2018.09.10 |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52강 (0) | 2018.09.07 |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51강 (0) | 2018.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