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41-43강

Posted by 소소한일상S01E01
2018. 8. 10. 20:25 내면탐구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41-43강


가족치료


(1강-40강까지는 개인의 내면을 추적하고 다룬 내용이라 할 수 있다.)


1. 가족치료이론

-1950년대부터 발달한 이론이다.

-발달한 이유: 아동치료에 있어서 가족치료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아동을 상담자가 1주일에 1-2시간 만나고 나머지 시간에 해당 아동은 가족과 보낸다. 


부모와 보내는 시간이 훨씬 많다. 치료 받고도 다시 되돌아가는 현상이 일어난 것을 보고(특히 정신분역증에서 말이다) 이를 깨달음.

겨우 치료된 아이가 병적 증상이 재발한 것이다.


2. 개인만을 치료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인식한다.

정신분열을 앓는 가족을 연구하면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것을 알게 된다. 즉 개인의 문제로 보일지라도 이것은 가족 안의 역동 속에서 발견한 것이다. 


물리, 과학, 화학, 질량보존의 법칙 등 과학적 이론이 가미된 프로이드의 이론에 비해

생물 이론이 가미된 가족치료이론이다. 다시 말해서, 세포가 모여 신체 장기 등이 모여서 인간이 되는 개인이 묶여 가족이 된다. 

즉 한 개의 시스템(계)이다.


시스템을 들여다보자.


아버지-어머니

아들-딸


배(위)가 아프면 온 몸이 아프듯 아버지 혹은 어머니가 아프면 다른 쪽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문제가 일어났을 때, 예를 들어 누군가 가출했다고 하면 이 사람의 내면을 분석하기 보다는 전체, 유


기적 시스템을 분석하는 것이 가족치료라고 볼 수 있다.


사례연구) 어느 내담자가 와서 자기 아들이 공부도 안하고 싸우고 가출하고 반항한다고 하소연을 하였다. 

그런데 가족치료법으로 가족관계를 분석해 보니...

   집의 권력은 독재자인 아버지에게 있었다고 평가되었다.

   엄마는 순종적이고 아내가 아닌 딸(순종적이고 명문대 다님)과 같은 존재로 살았다.

   아버지는 아들과 비슷한 맘대로 하고 파괴적인 성격이었다. 

사실 어머니와 딸이 더 위험에 노출되었을 수도 있다.

의사소통을 못하고 통로가 꽉 막혀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문제는 아버지에게 있다고 볼 수 있고 이를 대응하지 못하는 어머니, 딸에게 있다.


역설적이게도 이 가족에서 문제가 있는(?) 아들은 이 가족의 아픔을 드러내고 치유할 수 있게 해주는 징표고 통로이다. 


드러나지 않고 속으로만 아픈 암이 제일 무서운 것이다. 곪아가는 과정이 문제아인(?) 아들을 통해 치유된다. 


아들의 가출로 가족의 구조적인 문제가 드러났기 때문이다.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40강

Posted by 소소한일상S01E01
2018. 8. 9. 19:24 내면탐구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40강


성격의 구조


1층 피상층-진부하고 상투적 관계를 맺는다. 형식적이다.

2층 연기층-역할대로 산다. 내가 뭘하고 싶은지 모른다. 그래서 뭔가 만족스럽지 않다는 것을 느낀다

3층 교착층

4층 내파층

5층 외파층



1층과 2층이 깨지면 공포스러워진다. 이제 뭘 해야 할지 모른다. 근데 이때 새로운 형태, 


방식이 폭발하기도 한다. 즉 뭔가 새로운 것을 하게 된다. 내가 생각고 상상도 해보지 않은 것을 한다. 우리에겐 새로운 적응력이 있다. 


근데 사실 우리는 일상적인 방식을 깨는 것을 두려워 한다. 모험을 두려워 한다. 


보장이 되지 않은 상태에 높여지길 싫어한다. 근데 실제로 가보면 괴력이 은근히 분출되기도 한다.


게슈탈트는 이런 상황을 경험하게 하여 상자 밖에서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게슈탈트 기도라는 게 있다. 약간 자기주문 같은 것이다.


자기는 자기가 되어야 한다. 타인이 바라는 자신에 갇혀 있으면 안된다.


게슈탈트 기도문: 너는 너고 나는 나다. 나는 내 일을 하고 너는 너의 일을 한다. 


나는 이 세상에서 너의 기대에 맞추려고 있는 게 아니다. 너또한 내 기대에 맞추려고 존재하는 게 아니다.


우리는 결정을 못하겠다고 하며 2개의 선택 사이에서 괴로워한다.


2개의 마음을 왔다갔다 한다.


게슈탈트 치료는 개인의 생각의 끝이 무엇인지 추적하게 돕는다.


해야 한다는 나를 역할 연극을 하게 하여 이유가 계속 나오게 한다. 맘껏 다 말하게 한다.


하지 말하야 한다는 나를 역할 연극하게 하여 동일하게 반복한다.


이 둘을 타협시킨다. 하다보면 결론에 이르게 되기 때문이다.


회피하지 말고 끝까지 나의 생각의 깊이에 파고 들어야 한다. 이를 노트에 적는다. 이것은 현재 속의 나를 경험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나는 어떤 인생을 살고 있는가. 무엇이 현재의 나를 방해하는가.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39강

Posted by 소소한일상S01E01
2018. 8. 7. 01:40 내면탐구

자기이해를 위한 상담기초이론 김현옥교수 39강


자기자신을 느낄 수 있도록 연습시키는 게슈탈트 치료법


현재 내 자리에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


1. 과거의 미해결과제-->전경이 되고자 함--> 해결 받고자 함


차라리 떠올려서 해소시키는 게 치료에 더 효과적이다. 


무조건적으로 무시하려는 습관을 경계해야 한다. 억누르려고 하면 더 떠오르게 된다.


2. 인간은 내사를 한다. 무비판적으로 타인과 생각을 수용한다. 


예를 들면 부모의 비합리적 생각, 말, 행동을 흉내낸다.


어떤 게 있는지 생각해보자.


3. 자기의 내면과 타인의 생각을 구분을 방해하는 투사가 있다. 


예를 들면 내가 의심하고 미움이 가득하면 타인도 의심 미움이 많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내 의심, 내 미움이라고 인정하지 않으면 타인이 날 의심하고 날 미워한다고 생각, 오해하게 된다. 


자기 감정을 알아차리지 못할 때 생기는 증상이고 피해의식이며 편집증이기도 하다. 


누군가 날 공격한다는 망상에 사로잡히기도 한다.


4. 미해결과제로 인한 분노를 느낄 때, 소리 지르거나 부모님에게 짜증부리거나 나 자신에게 화를 내기도 하곤한다. 


특히 약자를 괴롭힌다. 여기서 약자는 나 자신이 될 수도 있고, 어린 자녀, 애완견 등이다.


5. 나의 감정이 타인의 감정과 동일시 (반사적으로) 될 때 융합이 일어난다고 한다.


예를 들어 아빠가 화나면 나도 자동적으로 화내고


엄마가 추우면 나도 자동적으로 춥다고 느끼는 것이다.


어디까지가 나고 어디까지만 부모 혹은 타인인가.


경계가 허물어짐(전경, 배경)


내가 뭘 좋아하고 하고 싶은지 모른다.


자신의 감정을 느끼지 못한다. 회피한다.


내용은 굉장히 어려운 내용인데, 웃으면서 말을 하기도 하고 너무 힘든 일은 아예 접촉하지 못한다. 


왜냐면 회피하고 살아왔기 때문이다. 미해결과제를 억합하고 나의 전경을 방해하는 것을 반복하며 살아왔다.


기억이나 느낌들 중 내게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


잘 알지도 인지도 안되는 것을 끌어내는 것을 돕는 자가 상담자다(프로이드와 비슷) 


미해결과제를 해결해서 현재의 삶을 방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왜 내 인생이 깨지고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